이더리움 ETF 스테이킹 옵션 승인시 가장 크게 호재로 작용 되는 코인 리스트
2024년부터 본격적으로 점화된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이슈는, 암호화폐 시장의 흐름을 완전히 바꿔놓을 변곡점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ETF 상품에 ‘스테이킹 옵션’이 포함될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관련 생태계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죠.
이더리움을 단순 보유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스테이킹 수익까지 연계된 ETF가 출시된다면, 시장에서는 유동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잡을 수 있는 핵심 코인들이 폭발적으로 주목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더리움 ETF + 스테이킹 옵션이라는 조합이 현실화될 경우, 가장 강력한 수혜가 예상되는 알트코인들을 선별해 소개합니다.
단순한 추측이 아닌, 실제 TVL, 생태계 확장성, 기관 채택 가능성 등을 기준으로 분석한 리스트이니, 투자 전략 수립에 꼭 참고해보세요!
내 거래 수수료 페이백 받는 꿀팁 👇👇
[셀퍼럴]내가 낸 코인 거래 수수료 자동으로 페이백 받는 방법
안녕하세요! 😊혹시 요즘 코인 거래하면서 수수료 아깝다는 생각, 한 번쯤 해보셨나요?매매할 때마다 쌓이는 수수료, 그냥 내고만 있었다면... 이제는 돌려받을 방법이 있습니다.바로 셀퍼럴(Sel
coinhaza.tistory.com
리도다오(LDO)
리도다오(LDO)는 이더리움 및 기타 PoS(지분증명) 블록체인에서 스테이킹을 보다 쉽게 만들기 위해 설계된 리퀴드 스테이킹 프로토콜(Liquid Staking Protocol)입니다.
전통적인 스테이킹은 일정 기간 자산이 묶이는 단점이 있었지만, Lido는 스테이킹한 자산에 대한 유동성을 부여함으로써 자산 운용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stETH (staked ETH)는 사용자가 Lido를 통해 이더리움을 스테이킹하면 1:1 비율로 받게 되는 토큰입니다.
stETH는 탈중앙화 금융(DeFi) 생태계에서 담보로 사용되거나, 다시 투자에 활용되며 유동성 손실 없이 스테이킹 리워드를 받을 수 있게 해줍니다.
핵심특징
항목 |
내용 |
---|---|
프로토콜명 | Lido DAO |
토큰명 | LDO |
토큰 유형 | 거버넌스 토큰 (ERC-20) |
대표 제품 | stETH (이더리움), stSOL (솔라나), stMATIC (폴리곤) 등 |
총 공급량 | 10억 LDO |
시가총액 | 약 20억 달러 (2025년 3월 기준, 변동 가능) |
상장 거래소 | 업비트, 빗썸, 바이낸스, 코인베이스, OKX, KuCoin 등 |
- 리스테이킹 점유율 1위 : 이더리움 전체 스테이킹 중 약 30~35% 이상이 Lido를 통해 진행되고 있으며 TVL(Total Value Locked)은 90억~100억 달러 이상을 꾸준히 유지중
- DeFi 연계성 최강 : stETH는 Aave, Curve, Yearn, MakerDAO 등 주요 프로토콜에서 담보자산 또는 유동성 풀 토큰으로 사용됨
- 유동성과 접근성 강화 : ETH를 스테이킹하고도 동시에 거래하거나 활용할 수 있는 자산 운용의 자유도 제공
- 탈중앙화 거버넌스 : LDO 토큰을 통해 누구나 거버넌스 제안 및 투표에 참여 가능 및 커뮤니티 중심의 프로토콜 운영
향후전망
- 이더리움 ETF에 스테이킹 옵션 포함 시 최우선 수혜 : stETH가 기관 수탁 대상이 될 경우 TVL 및 수수료 수익 급증 가능성
- L2 및 사이드체인 확장성 : Lido는 이더리움 외에도 솔라나(stSOL), 폴리곤(stMATIC), 쿠사마, 폴카닷 등으로 확장 중
- DeFi 연계 확대 :LSD-Fi (LSD 기반 파생상품) 시장 성장에 따라 stETH 활용도가 더욱 높아질 전망
아이겐레이어(EIGEN)
아이겐레이어(EIGEN)는 이더리움 기반의 ‘리스테이킹(Re-Staking)’ 프로토콜로, 기존에 이더리움에 스테이킹한 자산을 다시 활용하여 다양한 블록체인 서비스의 보안 기반으로 재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인프라 플랫폼입니다.
기존 이더리움 스테이킹은 단일 목적에만 사용되는 ‘고정형’ 구조였지만, 아이겐레이어는 이를 다시 확장하여 하나의 스테이킹 자산으로 다수의 서비스 보안에 참여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듭니다.
이는 이더리움의 보안성을 생태계 전반으로 확장시키는 혁신적 접근이라 평가받고 있습니다.
핵심특징
항목 | 내용 |
---|---|
프로토콜명 | EigenLayer |
토큰명 | EIGEN |
토큰 유형 | 거버넌스 토큰 (ERC-20) |
대표 제품 | Re-Staking 인프라, AVS(Actively Validated Services), EigenDA |
총 공급량 | 약 10억 개 (예정) |
시가총액 | 약 15억 달러 (2025년 3월 기준, 변동 가능) |
상장 거래소 | 빗썸,바이낸스, OKX, Bitfinex, Gate.io, MEXC 등 |
- 모듈형 구조의 중심 인프라: Celestia, Avail 등 모듈형 블록체인들과 상호 보완적
- AVS 생태계 확장: EigenDA, Espresso, Hyperlane 등 여러 프로젝트들이 EigenLayer를 통해 보안 기능을 빌림
- LSD 통합성: stETH, rETH, ETHx 등 다양한 리퀴드 스테이킹 토큰과 호환
향후전망
- 이더리움 ETF 스테이킹 옵션 수혜 1순위 : 스테이킹 옵션이 포함된 ETF가 출시된다면, stETH나 rETH 등의 LSD 보유량 증가가 예상됩니다. 이 자산들은 EigenLayer에 다시 위임될 수 있으므로, EigenLayer의 TVL과 EIGEN 수요가 함께 증가할 가능성이 큽니다.
- AVS 확산에 따른 구조적 성장 : 모든 신규 블록체인이 보안 확보를 위해 자체 검증자 운영을 하기 어렵습니다. EigenLayer는 이들에게 이더리움의 신뢰성과 보안성을 ‘임대’하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어, 기본 인프라 플랫폼으로서의 위상이 강화될 것입니다.
- 토큰 활용도 증가 : 현재는 거버넌스 및 보상 청구가 주 기능이지만, 향후 AVS 및 검증 구조가 확장됨에 따라 EIGEN 토큰의 스테이킹 및 이코노미도 복잡화·정교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프랙스 셰어(FXS)
프랙스 셰어(FXS)는 Frax Finance 생태계의 거버넌스 토큰으로, 세계 최초의 알고리즘 기반 부분 담보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인 FRAX를 중심으로 다양한 탈중앙화 금융 상품을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프랙스 셰어는 단순한 스테이블코인 플랫폼이 아닌, LSD(Liquid Staking Derivatives), AMO(Algorithmic Market Operations), FraxSwap, Fraxlend 등 복합적인 디파이 생태계를 운영하는 핵심 축입니다.
FRAX-FXS 구조 간단 정리
- FRAX: 가치가 1달러에 고정된 부분 담보형 스테이블코인
- FXS: Frax 프로토콜의 거버넌스 및 수익 분배 토큰
- frxETH: Frax에서 제공하는 리퀴드 스테이킹 자산(ETH 스테이킹 대체)
- sfrxETH: 스테이킹된 frxETH에서 발생한 리워드를 받는 파생 자산
이러한 구조를 통해 Frax는 스테이블코인, LSD, 디파이 대출 및 스왑까지 아우르는 종합 금융 인프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핵심특징
항목 | 내용 |
---|---|
프로토콜명 | Frax Finance |
토큰명 | FXS |
토큰 유형 | 거버넌스 토큰 (ERC-20) |
대표 제품 | FRAX (스테이블코인), frxETH, sfrxETH, FraxLend, FraxSwap |
총 공급량 | 약 1억 FXS |
시가총액 | 약 6억 달러 (2025년 3월 기준, 변동 가능) |
상장 거래소 | 바이낸스, 코인베이스, 크라켄, KuCoin, Gate.io 등 |
- Frax v2: 담보율을 자동 조절하는 부분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 설계
- FraxLend: 담보 기반 대출 플랫폼
- FraxSwap: 프록시 가격 메커니즘 기반 자동화 DEX
- frxETH / sfrxETH: 이더리움 리퀴드 스테이킹 상품
- FPI (Frax Price Index): 미국 CPI 기반의 인플레이션 연동 스테이블코인 실험
향후전망
- LSD-Fi 시장 수혜 가능성 : FXS는 frxETH/sfrxETH를 통해 Lido, Rocket Pool과 같은 리퀴드 스테이킹 경쟁에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이더리움 ETF 스테이킹 옵션 도입 시 수요가 크게 증가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 스테이블코인 다각화 : FRAX는 USDC, DAI 외의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탈중앙화 담보 자산 및 AMO 설계로 정책 개입 없이도 가치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목받습니다.
- 거버넌스 및 수익 분배 모델 확장 : FXS 보유자는 프로토콜 수익 분배 및 생태계 개선 제안 참여가 가능하며, 플랫폼 성장에 따른 장기적 가치 상승 구조가 마련돼 있습니다.
로켓풀(RPL)
로켓풀은 이더리움 네트워크 상에서 작동하는 탈중앙화 리퀴드 스테이킹 프로토콜로, 누구나 검증자 노드 운영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커뮤니티 기반 스테이킹 플랫폼입니다.
중앙화된 노드 운영자에게 의존하지 않고도 개인이 스스로 검증자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이더리움의 탈중앙성과 보안성을 더욱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Rocket Pool은 크게 두 가지 방식의 참여를 지원합니다
- rETH 보유자 – ETH를 스테이킹하고, 유동성을 가진 토큰 rETH를 받아 DeFi 생태계에서 활용 가능
- 노드 운영자 – 최소 8 ETH만으로 노드를 생성하고, 프로토콜의 검증자 수수료 수익을 획득
핵심정보
항목 | 내용 |
---|---|
프로토콜명 | Rocket Pool |
토큰명 | RPL |
토큰 유형 | 거버넌스 토큰 (ERC-20) |
대표 제품 | rETH (유동성 스테이킹 토큰), Minipool (개인 노드 운영 시스템) |
총 공급량 | 약 1,900만 RPL |
시가총액 | 약 3억 달러 (2025년 3월 기준, 변동 가능) |
상장 거래소 | 빗썸, 바이낸스, 코인베이스, 크라켄, OKX, Gate.io 등 |
- 탈중앙화 검증자 활성화: 누구나 검증자가 될 수 있는 구조로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검열 저항성과 보안성 강화
- 소액 스테이킹 가능: 0.01 ETH부터 rETH로 스테이킹 가능해 일반 투자자 접근성 우수
- DeFi 연동성: rETH는 Aave, Balancer 등 DeFi에서 담보 자산으로 채택되어 활용도 높음
- 분산형 리스크 구조: 노드에 이상이 생겨도 전체 프로토콜이 멈추지 않도록 구조화됨
향후전망
- LSD ETF 수혜 기대 : 스테이킹 옵션이 포함된 이더리움 ETF가 출시될 경우, rETH와 같은 리퀴드 스테이킹 토큰이 수탁 구조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Rocket Pool의 TVL 증가와 수수료 수익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경쟁 구도 속 차별점 존재 : Lido가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탈중앙성 및 보안 측면에서 Rocket Pool은 보완적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RPL 토큰의 거버넌스 및 스테이킹 강화 : 향후 RPL 토큰의 유틸리티 강화 및 프로토콜 수익 분배 구조가 활성화될 경우, 장기적 투자 가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펜들(PENDLE)
펜들(PENDLE)는 리퀴드 스테이킹 자산(LSD)을 비롯한 수익 발생 토큰(Yield-bearing tokens)의 미래 수익을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DeFi 이자율 파생 상품 플랫폼입니다.
기존 DeFi 시장에서는 자산을 예치해 발생하는 수익률은 단순히 '고정' 혹은 '유동' 상태로만 인식됐지만, Pendle은 이를 분리해 원금과 이자를 독립적인 자산으로 분리하여 거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이자 수익을 선판매하거나, 미래 이자율에 대한 투기 및 헤징 전략을 구사할 수 있으며, 시장은 더 효율적인 금리 발견 메커니즘을 갖추게 됩니다.
핵심특징
항목 | 내용 |
---|---|
프로토콜명 | Pendle Finance |
토큰명 | PENDLE |
토큰 유형 | 유틸리티 토큰 (ERC-20) |
대표 제품 | PT & YT 이자율 토큰, LSD-Fi 금리 시장, 이자율 자동화 풀 구조 |
총 공급량 | 약 2.3억 PENDLE |
시가총액 | 약 9억 달러 (2025년 3월 기준, 변동 가능) |
상장 거래소 | 업비트, 빗썸 , 바이낸스, Bybit, KuCoin, Gate.io 등 |
- PT (Principal Token): 원금에 해당하는 토큰, 만기 시 1:1 상환
- YT (Yield Token): 미래 일정 기간 동안의 이자 수익을 받는 토큰
- 지원 자산: stETH, rETH, sfrxETH, aUSDC, GLP, gDAI 등 다양한 수익형 토큰
Pendle은 이 두 토큰을 거래 가능한 시장(Pool)에 유동성을 공급하며, 수익형 자산의 '이자율'을 실질적인 상품으로 만들어 냅니다.
향후전망
- LSD 자산 확대와 함께 고성장 예상 : Pendle은 현재 LSD 자산을 기반으로 가장 활발한 이자율 파생상품 시장을 운영 중입니다. 이더리움 ETF에 스테이킹 옵션이 포함된다면, stETH, rETH 등의 활용 수요가 증가하고, 이와 연동된 Pendle 시장도 함께 성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LSD-Fi 프로토콜들과 긴밀한 연동 : Lido, Frax, Rocket Pool, Aave, Convex 등 주요 프로토콜과의 자산 연동을 통해 DeFi 핵심 인프라 중 하나로 자리매김 중입니다.
- 파생상품 시장의 혁신적 흐름 선도 : 금융 시장에서의 파생상품이 필수적이듯, DeFi에서도 금리 파생상품은 필연적 진화이며, Pendle은 이 부문에서의 퍼스트 무버로써 강력한 선점 효과를 누리고 있습니다.
마무리
이더리움 현물 ETF에 스테이킹 옵션이 포함되는 순간, 단순 보유 ETF를 넘어 수익률을 동반한 기관 자금 유입의 시대가 열리게 됩니다.
이는 단순히 이더리움만의 호재가 아니라, 그 기반을 이루는 리퀴드 스테이킹 생태계 전체의 재평가를 의미합니다.
이번 글에서 소개한 리도 다오(LDO), 아이겐레이어(EIGEN), 프랙스 셰어(FXS), 로켓풀(RPL), 펜들(PENDLE)
이 5개의 프로젝트는 단순히 트렌디한 코인을 넘어서, 이더리움 생태계의 필수 인프라로 작동하고 있으며
스테이킹 ETF가 실현될 경우 가장 직접적이고 강력한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높은 주자들입니다.
물론 시장은 언제나 불확실성을 동반하지만, 이번 ETF 스테이킹 옵션 이슈는 단기 이슈가 아닌 중장기적 패러다임 전환의 시작점일 수 있습니다.
향후 스테이킹 시장의 성장이 본격화될수록, 위 코인들의 중요성은 점점 더 부각될 것입니다.
스테이킹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고, 그 중심에 있는 코인들이 지금부터 주목해야 할 전략적 자산입니다.
추천 게시글
암호화폐(가상화폐) / 비트코인 관련 텔레그램 정보방 추천 채널 모음집
코인 텔레그램 채널 리스트 채널명주요 특징링크코인 갤러리코인 관련 실시간 뉴스 & 이슈 업로드바로가기소브 트레이딩실시간 차트 분석, 시황, 트레이딩 노하우 업로드바로가기링컨 트레이
coinhaza.tistory.com
솔라나(Solana) 기반에 꼭 알아야 할 핵심 코인 5종 완전 정리
솔라나는 초당 수천 건 이상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 초고속 퍼포먼스를 가진 레이어 1 블록체인으로, 최근 몇 년간 다양한 디앱(dApp), 디파이(DeFi), NFT 프로젝트들의 중심지로 부상했습니다
coinhaza.tistory.com
'암호화폐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솔레이어[Solayer,LAYER]에 대한 정보 , 미래 전망 등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5.04.05 |
---|---|
25년 2분기에 주목할만한 코인 리스트 (2) | 2025.03.31 |
솔라나(Solana) 기반에 꼭 알아야 할 핵심 코인 5종 완전 정리 (0) | 2025.03.26 |
웜홀[Wormhole,W] 에 대한 정보 , 미래 전망 등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5.03.23 |
제타체인[Zeta Chain,ZETA]에 대한 정보 , 미래 전망 등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5.03.22 |
댓글